지구열대화(가열화)시대 이끼녹화를 활용한 탄소중립(저감)기여 대책방안
Ⅰ. 이끼를 활용한 도시 탄소중립기여 방안
1.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이란?
더운 공기가 밀집된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교외 지역의 대기온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섬”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교외지역보다 도시지역의 온도가 더 높은 현상을 의미한다. 대기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도시녹화를 통해 나무 그늘을
조성해 주거나 옥상을 활용한 방법인 옥상녹화를 통해 도시열섬을 해소하고 탄소흡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기후위기 탄소중립 시대 대응 방안을 위한 탄소흡수원 확대 필요성
우리나라 경우 올해 온열 질환자 2,818명 중 사망자 수는 32명으로 전년대비 온열 질환자수가 80% 증가하였다. 그 중 사망자
수의 절반이 80세 이상 고령층이고 주로 실외 발생이 많았다.(환경부 질병관리청 2023.)
도시의 팽창과 산업단지 확대로 인한 산림. 녹지지구 감소로 숲의 탄소흡수기능저하가 우려되어 탄소중립 도시 열섬화 현상
의 억제와 완화 등 기후 변화에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이제는 도시 숲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UN 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 2019.)에 따르면 녹지 면적이 넓을수록 시민 행복지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녹지는 경제가 발전한 나라일수록 시민의 건강뿐만 아니라 행복도 높아진다.
3. 탄소 흡수원을 위한 방안으로 선태식물(이끼류)을 활용하여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탄소흡수원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탄소흡
수력이 우수한 이끼를 활용하는 것이 최근 연구의 새로운 동향이다.
Ⅱ. 도시 녹화를 위한 이끼 산업 분석
1. 도시녹화의 정의
도시 녹화는 도시환경을 가꾸는 것을 말하며 공공기관, 상업시설, 교육기관, 다중이용시설 등 도시 내의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녹화 유형
2. 국내 도시녹화 관련 정책 방향
1)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흡수원으로 도시녹화
대한민국 정부는 “2050탄소중립 선언전략”을 발표하여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본방향 및 부문별(에너지공급,
산업,수송,건물,폐기물,농,축,수산) 탄소중립 전략을 제시하였다.
2) 탄소흡수원 확대방안 중 하나로 도시 숲, 정원 등을 생활권 녹지조성을 제안했으며 이와 관련하여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 약칭 : 탄소중립기본법]을 시행하고 있다.
3. 국내외 이끼 활용 사례
1) 이끼를 활용한 타워는 미세 먼지저감 및 도시 열섬현상 완화 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광장의 미세먼지 발생이 많은
장소에 설치되면 수직정원의 이끼 매트 배치로 바닥 대비 높은 식재 율을 보인다.
SH 스마트 이끼타워
2) 네델란드 암스테르담
수직 정원인 City Tree를 개발하여 이끼를 활용한 도심 속 중요한 탄소 흡수기능 및 미세먼지 저화기능을 수행하
여 이끼를 이용한 수직 녹화로 이끼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빗물을 재활용한 자동 관수 방식으로 도심 내에
설치되어 있다.
3) 튀르키예 이스탄불 국제공항
이스탄불 국제공항 내 대한항공 출국 심사대 앞 광장에 여러개의 이동식 이끼 부스를 만들어 밀집도가 높은 장소
에 설치하여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스탄불 도시 진입도로 옹벽에 이끼류
와 지피식물로 수직정원을 조성하였다.